김응숙 의원이 20일 김천시의회 제244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적지 않은 임산물이 생산되고 있음에도 김천농산물도매시장이 과일만 취급하는 이유와 타 지방 도매시장보다 개장일이 100일이나 적은 이유에 대해 질의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응숙 의원, 농산물도매시장 개장일과 임산물 판로 대책 마련 촉구

김 의원은 2018년까지 호두생산량 전국 1위였던 김천이 충북 영동군에 밀려 2위가 되고, 천안과 영동 호두보다 인지도가 낮은 현실에 대해 호두산업 활성화 방안을 질문하였다. 또한 김천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과일만을 취급하고 개장일이 202일밖에 되지 않는 이유를 물었다.

이에 김충섭 시장은 김천시 농산물도매시장 거래물량 중 우리 시 대표 과실인 포도·자두·복숭아가 5,628톤으로 약 82%를 차지하고 있고 임산물의 경우, 전체 물량의 4% 정도로 밤, 호두는 연간 400~500kg밖에 되지 않음을 언급하며 타 도매시장의 경우도 낮게 책정되는 임산물 가격 때문에 농가가 도매시장을 외면하면서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임을 말했다. 이에 새김천청과와 김천시 산림조합 등과 협의하여 임산물 거래수요량과 출하 시기를 파악한 후 일정 기간 임산물을 거래하도록 중개하고 호두를 수매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현재 호두 산업의 어려운 상황을 설명하며 호두 먹빵, 호두 찰빵, 호두 기름 등 MZ세대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새로운 가공 제품 개발, 개장 예정인 국립김천 숲속야영장에 임산물 판매장 운영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김응숙 의원은 김충섭 시장의 답변에 임산물 산업을 다시 시작한다는 결연한 마음을 가질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차원의 세계 최초 농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이 23년 11월에 출범하고 등록된 업체가 48곳이나 되는 것을 언급하며, 김천도 전국 온라인 도매시장에 하루빨리 진입하여 스마트 임산물 산업화를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을 당부하고, 인근 지자체에서는 팀 단위로 임산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것과 달리 김천에서는 담당 직원이 1명뿐임을 지적하며, 임산물을 집중적으로 지원, 관리하는 신규팀 신설을 건의했다.

한길뉴스 후원하기